치료 정보 게시판
제목FIP의 역사 1963–2022 : 첫 발견부터 성공적 치료까지 - (저자: Niels C. Pedersen)2025-04-23 13:14
작성자 Level 10
첨부파일Review-FIP-1963-2022-final-version.pdf-4.29.22.pdf (1.57MB)
질병의 기원

이 글은 1963년 처음으로 FIP가 발견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연구, 치료 발전 과정을 다룬 리뷰입니다. 
특히 수의사, 보호소 직원, 고양이 구조 활동가, 보호자를 위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FIP의 원인 바이러스, 전파 방식, 병리와 증상, 진단 및 치료법을 아우르고 있습니다. 

FIP란?
FIP(Feline Infectious Peritonitis)는 1963년 미국 보스턴의 Angell Memorial 동물병원에서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복강(배 안 공간)에 황색의 끈적한 액체가 차는 "복막염"이 대표적인 증상.
이후 건조형(dry)과 습윤형(wet) FIP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습윤형 : 체내 장기에 염증성 삼출액이 가득 차는 형태.
건조형 : 염증성 덩어리(육아종)가 장기 내부에 생기며, 삼출액은 없음.

원인 바이러스(FCoV)와 감염 메커니즘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의 두 가지 형태
FECV : 장에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 대개 무증상이나 대변으로 전염됨.
FIPV : FECV가 몸 안에서 돌연변이 되며 발생 → FIP 유발
감염 경로 및 특징
- 9~10주령부터 FECV 감염 시작 (모체 면역력 소실 시점과 일치)
- 감염은 대부분 경구-분변 전파, 장 점막에서 증식
- 면역이 약하면 돌연변이 발생 → FIP 발생 확률 증가


전파와 유행역학
- FIP는 특히 다묘가정, 보호소, 번식장 등 밀집된 환경에서 더 잘 발생합니다.
- FIP에 걸리는 고양이의 약 75%는 3세 이하, 수컷이 더 많이 발병
- 입양 직후, 환경 변화 직후 발생률이 급증 → 스트레스가 면역 억제 유발


병리 및 병태생리
FIP는 바이러스가 면역세포(대식세포)에 침투하면서 전신으로 퍼지는 병.
습윤형은 즉각 면역반응(과민반응) 주도, 건조형은 지연 면역반응과 관련.
눈과 신경계에만 나타나는 특별한 경우도 있음 → "안과형", "신경형" FIP로 분류 가능


진단 방법
- A:G 비율 (알부민:글로불린) 낮음 (0.5 이하)
- 복수나 흉수 채취 → Rivalta 테스트, 세포 분석
- RT-PCR, 면역조직화학(IHC) → FIP 확진을 위한 바이러스 확인
- 초기 항바이러스 치료 반응도 진단 수단으로 활용


항바이러스 치료
GS-441524 (Remdesivir의 활성 대사체)가 2019년부터 널리 쓰이며 FIP 치료의 획을 그었습니다. 
치료 성공률 90% 이상, 특히 습윤형, 건조형 모두에 효과적
10~12mg/kg 고용량은 신경형/안과형 치료에 필요
치료는 보통 84일, 경우에 따라 연장
현재 국내외에서 비공식 유통 경로(예: 중국산) 통해 사용되는 경우 많음


결론 
GS-441524 외에도 Molnupiravir(몰누피라비르), Paxlovid(팍스로비드) 등 새로운 약물의 동물 적용 가능성 논의 중
향후 FIP 치료는 정식 수의학 제약 승인, 다중약제 조합 치료, 내성 방지 전략 중심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됨


참고
Pedersen NC. Review of FIP 1963–2022, UC Davis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