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정보 게시판
제목폐쇄적인 다묘 환경에서의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FECV) 관리와 항바이러스제 사용의 단점 - 2024년 3월 7일2025-04-23 20:27
작성자 Level 10

저자 : 닐스 C. 페더슨 수의학박사(DVM), 철학박사(PhD)

2024년 3월 7일


다묘 환경에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 감염을 논의할 때는 정확한 명명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FCoV라는 용어는 역사적으로 명명된 두 가지 바이러스를 포괄하는 집합적 용어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의 원인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인되었고, 이는 FIP 바이러스(FIPV)로 명명되었다(Ward, 1970; Zook et al., 1968). 이후 FIPV는 건강한 고양이의 장에 존재하며 병원성이 낮은 범용적인 장관 코로나바이러스(FECV)가 고양이 체내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발생하는 형태라는 사실이 밝혀졌다(Pedersen et al., 1981).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본 저자는 논의 중인 내용에 해당하는 FCoV 형태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따라서, FIP에 걸린 고양이의 병든 조직과 체액 내 특정 백혈구(단핵구/대식세포)에서 발견되는 FCoV 형태를 논할 때는 FIPV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건강한 고양이의 하부 장 상피에서 만성적이거나 간헐적으로 감염을 일으키고 대량으로 대변을 통해 배출되는 형태를 지칭할 때는 FECV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풍토병성(enzootic)’은 동물 집단 내에서 낮고 가변적인 수준으로 지속되는 감염을 의미하는 올바른 용어이며, 사람에 대해서는 ‘엔데믹(endemic)’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에피주오틱(epizootic)’은 일반적으로 모든 연령대의 동물에게 급격하고 빠르게 퍼지는 새로운 감염의 갑작스러운 유행을 뜻하며, 사람에게 해당하는 용어는 ‘에피데믹(epidemic)’이다. 임상적인 ‘signs(징후)’는 수의사나 의사가 신체 검진에서 관찰하거나 보호자/부모로부터 전달받은 내용을 의미하고, ‘symptoms(증상)’은 사람이 본인이 느끼고 의사에게 전달하는 자각 증상을 말한다.

FECV는 다른 점막 병원체들과 마찬가지로, 감염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 형태로 지속되거나 반복되어 고양이 집단 내에서 유지된다(즉, 풍토병성이다). FECV는 생후 약 9~10주 경, 모체 면역이 소실되는 시점부터 대변을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Pedersen et al., 2008). 감염은 대변-경구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장 상피를 표적으로 하고, 주된 장염 증상은 미미하거나 드러나지 않으며 일시적이고, 드물게 만성적이거나 중증으로 진행된다(Pedersen et al., 2008; Vogel et al., 2010). 이후 대변 배출은 주로 결장에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내에 면역이 형성되면서 중단된다(Herrewegh et al., 1997; Pedersen et al., 2008; Vogel et al., 2010). 그러나 이러한 면역은 잘 유지되지 않으며, 재감염이 흔하게 발생한다(Pearson et al., 2016; Pedersen et al., 2008). 시간이 지나면서 더 강한 면역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며, 3세 이상의 고양이는 재감염되거나 대변 배출자가 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Addie et al., 2003).

FIP는 FECV 감염 도중에 발생하는 특정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Poland et al., 1996; Vennema et al., 1995). 따라서 다묘 환경에서 FIP의 주요 위험 요소는 고양이의 FCoV 항체 수치가 높고 대변에서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비율이다(Foley et al., 1997). FIP를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전체 FECV 감염의 10% 이상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중 실제로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는 일부에 불과하다(Poland et al., 1996). 풍토병성 FECV 감염이 있는 집단에서의 FIP 발생률은 100마리 중 1마리 미만에서 10마리 이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발생 시점은 예측할 수 없고 단일 사례부터 소규모 집단 발병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Addie et al., 1995b; Foley et al., 1997). 실제 발병률은 숙주 요인과 환경 요인 등 면역 체계를 손상시키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FECV의 존재와 FIP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고려할 때, FIP를 예방하는 논리적인 방법은 FECV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백신은 FECV 감염을 통제하는 가장 간단한 접근법일 수 있지만, 어떤 백신도 자연 감염 후 회복이 만들어내는 면역보다 나은 면역을 제공할 수는 없다. 

이는 SARS-CoV-2 백신에서도 입증된 바 있습니다(Li 외, 2019). FECV의 자연 면역이 약하고 오래가지 않는다는 사실(Pearson 외, 2016; Pedersen 외, 2008), 그리고 다양한 개체군과 지역 간의 혈청형 및 변이의 큰 차이(Addie 외, 1995b; Liu 외, 2019)를 고려할 때, 효과적인 FECV 백신이 개발될 가능성은 낮다. 

FECV가 만성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엔주오틱 감염)은 백신으로 쉽게 해결되지 않지만, 보균자에 대한 철저한 검사와 엄격한 격리를 통해 특정 집단의 고양이들로부터 FECV를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다(Hickman 외, 1995). 그러나 FECV는 자연에서 매우 흔하고, 고양이 간의 직접 또는 간접 접촉 및 사람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막기 위해서는 가장 철저한 격리 시설과 절차가 필요하다. 


실제로 어느 정도로 엄격해야 할까요? 

FECV를 제거하고 차단하기 위해 '검사 및 제거' 방식과 격리를 결합한 경험은 단 한 건의 보고서에 제한되어 있다(Hickman 외, 1995). UC Davis의 특정 병원균 무균 고양이 번식 시설에서 바이러스 배출 고양이들을 제거하고 남은 집단에 대해 엄격한 격리 절차를 시행함으로써 FECV를 제거한 사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차단 시도에도 불구하고 몇 년 후 FECV가 다시 이 집단에 들어왔다(Pedersen NC, UC Davis, 미공개, 2022). 유일하게 효과적인 격리 사례는 포클랜드 제도에서 보고되었다(Addie 외, 2012). 

남대서양의 외딴 섬인 이곳은 극도의 고립 덕분에 FECV로부터 자유로웠으며, 앞으로의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도 시행되고 있다(Addie 외, 2012).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가정 환경에서 고양이 집단이 FECV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매우 엄격한 격리 및 감염 방지 절차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번식용 고양이 집단에서 새끼 고양이의 FECV 감염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흥미로운 접근법은 ‘조기 이유 및 격리(early weaning and isolation)’로 알려져 있다(Addie 외, 1995a). 이는 FECV에 노출된 어미에게서 태어난 새끼들이 약 9주까지는 모체 면역을 통해 감염으로부터 보호받는다는 사실에 근거한다(Pedersen 외, 2008). 

따라서 모체 면역이 사라지기 전(4~6주령)에 이유시키고, 어미와 다른 고양이로부터 격리시킨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초기에 인기를 끌었지만, 많은 수의 번식 고양이(5마리 이상의 어미 고양이)를 보유한 번식장에서 필요한 시설과 격리 절차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Hartmann 외, 2005). 

또 다른 문제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새끼 고양이들을 큰 집단의 다른 고양이들과 분리해 관리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집단 내 모든 고양이들을 동시에 FECV로부터 자유롭게 만들면 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정 기간 동안 FECV 배출 여부를 검사하고, 배출 고양이를 제거하며, 철저한 격리를 병행해야 한다. 그러나 FECV가 만연한 번식장에서는 많은 고양이들이 바이러스를 배출하기 때문에(Foley 외, 1997; Herrewegh 외, 1997), 이들을 제거하는 것은 유전자 풀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Hickman 외, 1995). 


그렇다면, 한 번에 모든 고양이들로부터 FECV를 제거할 방법이 있을까요?

최근 FIP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가 효과를 보이면서(Pedersen 외, 2018, 2019), 이 약물을 이용해 전체 고양이 집단을 동시에 바이러스에서 자유롭게 만드는 이론적인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초기 연구 결과에서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항바이러스제 치료로 폐쇄된 고양이 집단에서 FECV를 제거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Addie 외, 2023). 


그렇다면 FECV를 항바이러스제로 제거할 수 있다면, 이 방법에 어떤 함정이 있을까요?

첫 번째 함정은 짧은 항바이러스 치료로 인해 형성되는 면역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수 있는가이다. GS-441524로 FIP 치료에 성공한 고양이들을 추적한 연구에서는 3~12개월 내에 18마리 중 5마리에서 무증상의 FECV 배출이 다시 나타났다(Zwicklbauer 외, 2023). 

이는 치료로 얻은 면역도 자연 감염 후 회복과 마찬가지로 오래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초기 및 재감염 치료 비용, 잦은 배설물 검사, 그리고 격리 유지 비용 등 경제적 문제이다. 

격리 절차가 느슨한 일반 가정 환경에서는 이 고양이들을 오랜 기간 동안 FECV로부터 자유롭게 유지하는 것이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 


세 번째는 번식과 고양이 쇼 참가 등 일상 활동과 관련된 문제이다. 번식장에서는 새끼와 성묘 간의 잦은 상호작용이 있고, 사람들 간 접촉도 빈번하다. 

번식가가 이런 즐거움을 모두 포기하고 완전 격리에 들어간다는 것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


결국 질문은 이것이다. “고양이들이 FECV로부터 자유로워졌다면, 이제 그들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 고양이들이 통제된 환경을 떠난 후 얼마간 FECV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면역이 없기 때문에 아주 작은 노출에도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물론, 이 집단에서 함께 나온 고양이들 모두가 다시 감염될 위험이 크다.

가장 큰 우려는, 이러한 집단을 FECV로부터 자유롭게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경우 내성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GS-441524에 대한 내성이 FIP 치료 고양이에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UC Davis와 Cornell University의 연구자들 모두 만성적인 FECV 감염에서의 약제 내성 발생은 FIP 발생률 감소라는 이득보다 더 큰 해가 될 것이라 보고 있다. 

현재 FIP는 90% 이상의 확률로 완치가 가능하며, 항바이러스 내성이 생기더라도 그 고양이에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다.


사람의 HIV-1 감염도 항바이러스제를 통해 예방되고 있으며, 이 경우 내성 문제가 공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HIV-1 예방은 단일 약제가 아닌 다양한 계열의 복합 요법으로 이루어진다. 

복합 치료는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 아니라 내성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한 약제에 대한 내성이 생겨도 다른 약제가 바이러스 복제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다시 말하자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고 해서, 꼭 해야 하는가?” 저자는 무증상 FECV 감염 고양이를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해 FIP를 예방하려는 시도는, 더 크고 더 잘 설계된 장기 연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잘 관리된 소규모 번식장, 보호소, 연구 기관에서는 FECV 감염이 있어도 FIP 발병률은 낮은 경우가 많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FIP 사례를 치료할 수 있다(Pedersen 외, 2019).


번식 고양이 수와 태어나는 새끼 수를 줄이고, 성묘를 많이 유지하며, FIP가 발생한 고양이 개체 및 혈통을 배제하고, 새로운 고양이의 잦은 유입이나 환경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FIP 발생률을 낮추는 현실적인 방법이다. 

작은 번식장에서는 조기 이유 및 격리도 효과적일 수 있다(Addie 외, 1995a). 

반면, 보호소나 임시보호 환경에서는 상황이 더 복잡하다. 대부분의 고양이들이 유기묘 출신이고 나이가 매우 어리며, 영양실조, 다양한 질환, 포획과 이동으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기 때문이다.





References cited 

Addie DD, Bellini F, Covell-Ritchie J, Crowe B, Curran S, Fosbery M, Hills S, Johnson E, Johnson C, Lloyd S, Jarrett O. 2023. Stopping Feline Coronavirus Shedding Prevented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es. 15(4), 818. 


Addie DD, McDonald M, Audhuy S, Burr P, HollinsJ, Kovacic R, Lutz H, Luxton Z, Mazar S, Meli ML, 2012. Quarantine protects Falkland Islands (Malvinas) cats from feline coronavirus infection. J Feline Med Surg, 14, 171–176. 


Addie DD, Schaap IA, Nicolson L, Jarrett O, 2003. Persistence and transmission of natural type I feline coronavirus infection. Journal of General Virology 84, 2735–2744. 


Addie, D.; Jarrett, O. Control of feline coronavirus infections in breeding catteries by serotesting, isolation, and early weaning. 1995. Feline Pract. 23, 92–95. 


Foley JE, Poland A, Carlson J, Pedersen NC, 1997. Risk factors for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among cats in multiple-cat environments with endemic feline enteric coronavirus. J Amer Vet Med Assoc. 210, 1313-1318. 


Hartmann K, 2005.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 35(1), 39– 79. 


Herrewegh AAPM, Mähler M, Hedrich HJ, Haagmans BL, Egberink HF, Horzinek MC, Rottier PJM, de Groot RJ, 1997. Persistence and evolution of feline coronavirus in a closed cat-breeding colony. Virology 234, 349–363. 


Hickman MA, Morris JG, Rogers QR, Pedersen NC, 1995. Elimination of feline coronavirus infection from a large experimental specific pathogen-free cat breeding colony by serologic testing and isolation, Feline Practice 23, 96–102. 


Pearson M, LaVoy A, Evans S, Vilander A, Webb C, Graham B, Musselman E, LeCureux J, VandeWoude S, Dean GA, 2019. Mucosal Immune Response to Feline Enteric Coronavirus Infection. Viruses 11, 906. 


Pedersen NC, Theilen G, Keane MA, Fairbanks L, Mason T, Orser B, Che CH, Allison C, 1977. Studies of naturally transmitted feline leukemia virus infection. Americ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38, 1523–1531. 


Pedersen NC, Boyle JF, Floyd K, Fudge A, Barker J, 1981. An enteric coronavirus infection of cats and its relationship to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Americ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42, 368-377. 5 


Pedersen NC, Allen CE, Lyons LA, 2008. Pathogenesis of feline enteric coronavirus infection.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10, 529–541. 


Pedersen NC, Liu H, Dodd KA, Pesavento PA, 2009. Significance of coronavirus mutants in feces and diseased tissues of cats suffering from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es 1, 166-184. 


Pedersen NC, Kim Y, Liu H, Galasiti Kankanamalage AC, Eckstrand C, Groutas WC, Bannasch M, Meadows JM, Chang KO, 2018. Efficacy of a 3C-like protease inhibitor in treating various forms of acquired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20, 378-392. 


Pedersen NC, Perron M, Bannasch M, Montgomery E, Murakami E, Liepnieks M, Liu H, 2019. Efficacy and safety of the nucleoside analog GS-441524 for treatment of cats with naturally occurring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21, 271-281. 


Poland AM, Vennema H, Foley JE, Pedersen NC, 1996. Two related strains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 isolated from immunocompromised cats infected with the feline enteric coronaviru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34, 3180-3184. 


Vennema H, Poland A, Foley J, Pedersen NC, 1995.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es arise by mutation from endemic feline enteric coronaviruses. Virology 243, 150-157. 


Vogel L, Van der Lubben M, , Te Lintelo EG, Bekker CPJ, Geerts T, Schuif LS, Grinwis GCM, Egberink HF, Rottier PJM, 2010. Pathogenic characteristics of persistent feline enteric coronavirus infection in cats. Veterinary Research 41, 71. 


Ward JM, 1970. Morphogenesis of a virus in cats with experimental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ology 41, 191–194. 


Zook BC, King NW, Robinson RL, McCombs HL, 1968. Ultrastructural evidence for the viral etiology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eterinary Pathology 5, 91–95. 


Zwicklbauer K, Krentz D, Hartmann K, et al., 2023. Long-term follow-up of cats in complete remission after treatment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with oral GS-441524. J Feline Med Surg. 25(8) 



Footnote citations 

1. Pedersen NC. History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1963-2022 – First description to Successful Treatment. 

https://sockfip.org/wp-content/uploads/2022/04/Review-FIP-1963-2022-final-version.pdf4.29.22.pdf


2. Cornell University blog. Fight FIP. Unraveling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rom the ground up. 

https://blogs.cornell.edu/fightfip/fip-antivirals/


3. FIP Treatment - Czechia/Slovakia.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e/2PACX1vRAnj_FV_fteWIW1HXsROLuJ7YY1-i_Sf81BCmM9JT9LbCT2mcnwD1rL9IBsLCTB1U59CcnalOGjFqq/pubhtml?gid=1340189982&single=true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