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정보 게시판
제목임신한 고양이의 전염성 복막염 (FIP) - 2021년 5월 24일2025-04-23 13:30
작성자 Level 10

서론

임신은 면역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타인의 조직(동종 이식)이나 다른 종의 조직(이종 이식)은 신체가 이물질로 인식해 거부 반응을 일으킵니다. 하지만 태아는 '동종 이식'임에도 불구하고 몸에서 거부하지 않죠. 이런 태아 거부 억제 메커니즘은 호르몬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T세포 면역이 임신 중 큰 영향을 받습니다. T세포는 병원체에 의해 손상된 세포를 인식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자가면역 질환에도 관여합니다.


임신과 면역 기능

임신은 면역력을 강화하기도, 약화시키기도 합니다. 어떤 자가면역 질환은 호전되지만, 출산 후 다시 악화되거나 새로운 감염에 더 취약해지기도 합니다. 특히 임신 3기(후반기)에는 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가장 높아지면서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태아는 태반 장벽 덕분에 감염으로부터 잘 보호됩니다. 이 장벽은 병원균은 차단하지만 약물은 대부분 통과시킵니다. 

즉, 태반은 감염보다는 약물 투과에 더 관대하며, 뇌혈관 장벽과는 성질이 다릅니다.


임신 중 FIP의 양상

임신한 암컷 고양이에서의 FIP 사례는 아직 많지 않지만, GS-441524 치료 중 관찰된 일부 케이스에서 다음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임신 초기에는 잠복기 상태였던 FIP이 면역억제 상태인 임신 후반기에 임상 증상으로 발전합니다.

가장 흔한 형태는 복강형 습윤 FIP이며, 임신 말기나 출산 직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끼 고양이에 미치는 영향

감염 시기와 정도에 따라 새끼의 운명은 달라집니다:

임신 초반 : 태아가 죽고 자궁 내 흡수

중반 : 유산

후반 : 병약하게 태어나거나 출산 직후 사망

일부는 건강하게 태어나기도 하며, 모유를 못 먹는 경우 분유 수유 후 생존 가능성도 있음

일부는 태내 감염 상태로 태어나 몇 주 후 FIP 발병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사망이 직접적인 바이러스 감염 때문인지, 혹은 면역 반응(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인한 2차 손상인지는 불분명하지만, 둘 다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GS-441524 치료와 예후

GS-441524 치료는 임신 중 FIP의 예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조기 치료 시 건강한 새끼 고양이를 낳을 가능성이 높으며, 어미도 새끼를 정상적으로 돌볼 수 있습니다.

GS-441524는 작은 분자 구조로 태반을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태아 발달에 악영향은 발견되지 않음.

모유(초유 포함)로도 전달되어, 신생아가 추가 치료 없이 보호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 및 관리 권장사항

임신 여부에 관계없이 어미 고양이를 치료해야 하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임신과 출산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로 태아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분만 후 어미가 건강하면 직접 육아하게 하며, 분리된 새끼는 수유하거나 위탁 양육 가능.

체중이 늘지 않거나 활력이 없는 새끼는 필요 시 GS-441524 소량 투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Robinson DP, Klein SL. Pregnancy and pregnancy-associated hormones alter  immune responses and disease pathogenesis. Horm Behav. 2012;62:263-271.

Aghaeepour N, Ganio EA, Mcilwain D, et al. An immune clock of human  pregnancy. Science Immunology 2017; 2 (15):eaan2946 

Pazos M, Sperling RS, Moran TM, Kraus TA. The influence of pregnancy on  systemic immunity. Immunol Res. 2012;54:254-261. 

Kourtis AP, Read JS, Jamieson DJ. Pregnancy and Infection. N Engl J Med.  2014;370(23):2211-2218. 

Ledan S Infectious Diseases in Pregnancy. US Pharm. 2020;45(9):22-26. 

Arora N, Sadovsky Y, Dermody TS, Coyne CB. Microbial Vertical  Transmission during Human Pregnancy. Cell Host Microbe. 2017;21(5):561-567.  

Racicot K, Mor G. Risks associated with viral infections during pregnancy. J  Clin Invest. 2017;127(15):1591-1599. 

Pastoret PP, Henroteaux M. Epigenetic transmission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Comp Immunol Microbiol Infect Dis. 1978;1:67-70. 

Addie DD, Jarrett O. A study of naturally occurring feline coronavirus infection  in kittens. Vet Rec, 1992;130:133–137. 

10. Addie D.D., Jarrett O. Feline coronavirus infections. In: Greene C.E., editor.  Infectious diseases of the dog and cat. WB Saunders; Philadelphia: 1990. pp. 300– 312.


출처 : https://www.sockfip.org/fip-in-pregnant-cats/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